frame, iframe 태그(html).
프레임을 나눈 페이지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
전체 문서수 = 프레임태그 수 + 1 (프레임셋 구조를 가진 페이지) 입니다.
<frame src~ 이렇게 시작하는 태그 수 + <frameset ~~ 가 적힌 페이지 .. 입니다.
물론 조금 할 줄 안다 싶으면 위의 공식이 틀리지만 -_-;
어쨋든 위에처럼 정석으로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.
우선 frame 태그 속에 들어갈 수 있는 '속성'들을 정리 해 드리겠습니다.
속성이라 함은 예를 들어 <table border="1"> 이라는 태그속에서 파란색이 속성입니다.
속성은 한가지만 쓸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스패이스로 구분하여 여러개를 쓸 수 있답니다.
<table border="1" bordercolor="#FF33FF> 처럼 각 속성들을 모두 적어주시면 됩니다.
• border="픽셀"
-----프레임의 경계선 두께를 설정합니다. 입력값이 "0" 이면 경계선은 사라집니다.
• bordercolor="색이름/SRGB"
-----경계선의 색상을 설정합니다. blue나 red를 적어주셔도 되고 #FFFFFF부터 #000000까지 가능;
• frameborder="값" (값 = 1 / 0)
-----프레임 경계선의 표시 유무를 설정합니다.
• marginheight="픽셀"
-----프레임의 상하 여백을 설정합니다.
• marginwidth="픽셀"
-----프레임의 좌우 여백을 설정합니다.
• name="프레임 이름"
-----프레임의 이름을 지정합니다. 예약어(_new, _top, _parent, _blank)를 제외하고 사용해야 합니다.
• noresize
-----프레임의 크기를 고정합니다. 브라우져에서 프레임을 조절 할 수 없게합니다.
• scrolling="값" (값 = yes / no /auto)
-----프레임 내에 스크롤바를 만들것인가를 설정합니다. "yes"이면 무조건 나오고 "auto"이면 문서가 화면을 넘어가는가에 따라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. No면 화면이 넘어가더라도 스크롤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다음으로 frameset 태그 속에 들어갈 속성들 정리입니다.
• border="픽셀"
-----프레임의 경계선 두께를 설정합니다. 입력값이 "0" 이면 경계선은 사라집니다.
• bordercolor="색이름/SRGB"
-----경계선의 색상을 설정합니다.
• cols="픽셀 / (%)"
-----프레임셋 내의 프레임들을 수직으로 나눌때, 프레임의 너비를 설정합니다.
• frameborder="값" (값 = 1 / 0)
-----프레임 경계선의 표시 유무를 설정합니다.
• framespacing="픽셀 / (%)"
-----프레임셋 내에서 프레임간의 간격.
• rows="픽셀 / (%)"
-----프레임셋 내의 프레임들을 수평으로 나눌때, 프레임의 높이를 설정합니다.
*Frame태그는 종료태그를 붙이지 않습니다. ^^*
그렇다고 frameset도 종료태그를 안붙이면 큰일납니다 ㅋ </frameset>로 꼭 막아주세요~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마지막 Iframe태그 정리입니다.
• align="값" (값 = left / center / right)
-----iframe의 정렬 상태를 설정합니다
• border="픽셀"
-----경계선의 두께를 설정합니다.
• bordercolor="색이름/SRGB"
-----경계선의 색상을 설정합니다.
• frameborder="값" (값 = 1 / 0)
-----프레임 경계선의 표시 유무를 설정합니다.
• framespacing="픽셀 / (%)"
-----프레임셋 내에서 프레임간의 간격.
• height="픽셀"
-----창의 높이를 설정합니다.
• hspace="픽셀"
-----창의 경계선과 창 안의 인접하고 있는 텍스트 사이의 좌우 간격을 설정합니다.
• id="id 이름"
-----class와 동일한 기능. 다만 id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• marginheight="픽셀"
-----프레임의 상하 여백을 설정합니다.
• marginwidth="픽셀"
-----프레임의 좌우 여백을 설정합니다.
• name="프레임 이름"
-----프레임의 이름을 지정합니다.
• scrolling="값" (값 = yes / no /auto)
-----프레임 내에 스크롤바를 만들것인가를 설정합니다. "yes"이면 무조건 나오고 "auto"이면 문서가 화면을 넘어가는가에 따라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.
• src="url"
-----로딩될 페이지를 지정합니다.
• style="스타일 시트 입력"
-----적용될 스타일 시트를 지정
• width="픽셀"
-----창의 너비를 설정합니다.
• vspace="픽셀"
-----창의 경계선과 창 안의 인접하고 있는 텍스트 사이의 상하 간격을 설정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출처: 셀클럽 - http://sellclub.co.kr
다른곳에서 이용할시에는 꼭 출처를 같이 복사이용 바랍니다.
'컴퓨터-유용한팁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강좌 STYLE SHEET 범위제어 (0) | 2015.09.05 |
---|---|
플래시 동영상 제어를 위한 Embed tag. (0) | 2015.09.05 |
웹 문서에 단축키를 달자!. (0) | 2015.09.05 |
레어어에 대해 - 레이어 overflow 속성. (0) | 2015.09.05 |
레어어에 대해 - 레이어와 자바스크립트(1) . (0) | 2015.09.05 |